뉴욕에서
미술관들을 돌아보며
반갑게 만났던
한국미술만 따로 소개한다.
2018년 4월경부터 9월경까지
만난 작품들이다.
이
곳은
메트로폴리탄미술관
한국관이다.
1998년 한국의 대기업에서
공간을 만들고
오픈행사때
우리대통령이 참석 했다고,
내가 관람했을 때는
금강산을 주제로한 작품
특별전이 열리고 있었다.
작가; 소산 박대성
제목; 금강산 구룡폭포
작가; 겸재 정선
제목; 봉래산전도 - 17세기
작가; 소정 변관식
제목; 외금강 삼선암 추색 - 1966
덕수궁 미술관에서 만났었는데
이 먼곳에서 또 만났다
작가; 미상
제목; 금강산도권 - 19세기
제목; 청화백자동채 금강산형 연적 - 19세기
작가; 유당 김하종
제목; 해산도첩(일부) - 19세기
작가; 유당 김하종
제목; 해산도첩 - 19세기
작가; 작자미상
제목; 금강산민화십폭병풍 - 19세기
작가; 겸재 정선
제목; 금강산내산전도 - 18세기
작가; 겸재 정선
제목; 만폭동과 혈망봉 - 18세기
작가; 겸재 정선
제목; 정양사 - 18세기
작가; 신장식
제목; 금강산 천화대의 빛 - 2014
이곳은
브루클린미술관 한국관
2층으로 올라 첫번째 방
토기와 고려자기 조선시대의 회화작품이 전시
가야와 신라의토기
조선시대의 연적과 청화백자
작품내용 채집 못함
조선시대 가구와 궁중의상
우측으로 조선시대 용무늬분청자기
그뒤로 박서보씨의 작품 2개
삼국시대의 청동거울과 과대와 토기들
삼국시대 신라의 귀걸이
조선시대의 망건과 목재함 과 조족등
조선의 목재인형 - 18세기
영의정 한익모 초상화 - 18세기
작가; 백남준씨의 비디오아트
작가; 강석영
제목; Untitled, 1992
작가; 황란
제목; East Wind - 2012
(단추로 만든 작품)
작가; 박서보
제목; Ecriture No, 000308, 2000
(좌우 대칭되는 2개의 작품이 있었음.)
첼시갤러리촌의 Crossing Collective에서 만난 작품
작가: 이가경
제목: Road Trip(무빙이미지)
(오른쪽의 8개의 그림이
왼쪽 모니터에 움직이는 그림으로 표현 됨)
Crossing Collective에서
작가: 이자운
제목: 공사중
Crossing Collective에서
작가: 홍정우
제목: ?
첼시의 Y·S·PGALLERY
박영숙씨의 도자기에
이우환씨가 그림을 그린 도예전
대가들의 걸작을 만났다.
첼시의 Y·S·PGALLERY
작가: 박영숙의 달 항아리
첼시의 Y·S·PGALLERY
작가: 박영숙의 사과
두산갤러리
다음 전시될 포스터만 붙어있고 문을 닫았다
역시 여름휴가?
몇 곳에서
한국인 큐레이터의 친절함도 만났다.
생각없이
문 열고 만난 달항아리에
머리가 저려왔다.
그동안
자료들을 정리하면서
많은 한국작가의
이름들을 발견 했다.
맨해튼에는
크고 작은 미술관들이 많다.
이곳들을 좀더 둘러보지
못한것이 많이 아쉽다.
안전하고 신나는 자전거여행 합시다.
'미술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ARTASIA 구경하기 (0) | 2019.08.21 |
---|---|
첼시갤러리촌 다녀오기 3/3 (0) | 2019.03.14 |
첼시갤러리촌 다녀오기 2/3 (0) | 2019.02.27 |
첼시캘러리촌 다녀오기1/3 (0) | 2019.02.17 |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다녀오기2/2 (0) | 2019.01.31 |